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차원증가
- 자바 열거형
- db
- Java
- 사이킷런 회귀
- REST API
- 스프링 부트
- 완주하지못한선수
- streamlit
- GIT
- 셀레니움
- 스프링 부트3
- 오라클
- openai
- 프로그래머스
- 자바 로그 레벨
- Selenium
- 알고리즘
- 파이썬
- 쓰레드 풀
- 머신러닝
- 컬렉션 프레임웍
- URI 원칙
- Python
- WinError5
- 컬렉션 인터페이스
- 사이킷런
- conda remove
- oracle
- h2 데이타베이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90)
노트 :

컴퓨터를 새로 사서 git을 새로 설치해야 했다. 먼저 다운로드 사이트에 가서 최신버전을 받았다. https://git-scm.com/downloads Git - Downloads Downloads macOS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in GUI tools (git-gui, gitk), but there are several third-party tools for users looking for a platform-specific exp git-scm.com 나는 윈도우 사용자라서 Windows 버튼을 눌러 ..

Atmel AVR(Advanced Virtual RISC)은 1996년 Atmel 사(2016년에 Microchip 사에 인수됨)에서 개발된 하버드 구조로 수정한 8비트 RISC 단일칩 MCU이다. Atmel 사의 AVR은 크게 Tiny, AT90, Mega 시리즈로 나눌 수 있다. Tiny 시리즈 핀수가 8~24핀 정도의 작은 외형으로 대부분 외부 시스템 버스가 없고 내부에 1~2Kbyte 정도의 플래시 메모리를 가지고 있어 용량도 작은 편이다. UART를 지원하지 않고 RTC타이머가 없으며 16비트 타이머가 없고 8비트 타이머만 1~2개 있는 등 기능이나 성능이 비교적 낮지만 가격이 저렴하여 소형제어기에 적당하다. Mega 시리즈 28~100핀 정도의 외형을 갖고 내부에 8~256Kbyte정도의 플래..

네트워크의 기능에 따라 여러 계층 형식으로 정의한 두 가지 모델이 있다. 1970년대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회국(DARPA)가 개발한 계층구조모델인 TCP/IP모델과 1984년 국제표준화기구(ISO)가 개발한 OSI 7레이어이다. 두 계층 구조 모델은 만들어진 곳이 다를 뿐, 통신에 필요한 기능을 계층적으로 정리했다는 점에서는 똑같다. 모델별 계층의 특성은 아래와 같다. 1. TCP/IP 참조 모델 계층 계층 이름 역할 4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3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애플리케이션 식별 및 그에 대해 통신 제어한다. 2계층 인터넷 계층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단말과의 연결성을 확보한다. 1계층 링크 계층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단말과의 연결성을 확보한다. 2. OSI 참조 모델..

numpy의 vstack과 hstack은 여러 배열을 합쳐주는 메소드이다. vstack은 vertical stack을 뜻하므로 수직방향으로 합쳐주고, hstack은 horizontal stack을 뜻하므로 수평방향으로 합쳐준다. 아래 예제를 살펴보자. import numpy as np a = [[1, 2, 3], [4, 5, 6]] b = [[7, 8, 9], [10, 11, 12], [13, 14, 15]] a, b를 출력해보면 다음과 같다. 다음에 a와 b를 vstack의 인자로 넣어준다. 이때 튜플의 형태로 넣어주어야 한다. ab = np.vstack((a,b)) ab를 출력하면 다음과 같이 a,b가 수직으로 합쳐진 걸 알 수 있다. 이제 hstack을 사용해 보자. hstack은 수평으로 결합시키..

네트워크 이용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잘 알려진 포트번호 강제적으로 지정된 것은 아니며,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인터넷 할당번호 관리기관)의 권고사항임 서비스 포트번호 FTP(File Transfer Protocol) - 데이터 포트 20 FTP(File Transfer Protocol) - 제어 포트 21 SSH(Secure SHell) 22 Telnet 23 개인메일 시스템 24 SMTP 25 DNS(Domain Name System) 53 HTTP 80 POP3 110 RPC(Remote Procedure Call) 111 IMAP3 220 HTTPS(SSL위의 HTTP) 443 MySQL 3306 Redis 6379 출처: wikipedia

1. 오픈소스 라이선스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SS; Open Source Software)의 사용, 복제, 수정, 배포와 관련하여 허용되는 권한범위 2. 오픈소스 라이선스 사용 시 고려할 사항 ① 라이선스 종류: 오픈소스 종류에 따른 이용 허가범위 및 유의사항 확인 ② 사용자 수: 해당 오픈소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 확인 ③ 기술지원: 해당 기술이 지속적으로 지원가능한 지 여부 확인 3. 오픈소스 라이선스 종류 ① GNU(GNU's Not Unix) : 유닉스의 상업적 확산에 반발하여 리처드 스톨먼과 그의 팀이 무료로 배포하고 있는 유닉스 호환 운영체제,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만든 소프트웨어의 재배포가 의무사항임 ②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 캘리포니아 버클리..

머신러닝을 위한 대표적인 인코딩 방식에는 2가지가 있다. ① 레이블 인코딩(Label Encoding) : 카테고리 피처를 숫자 값으로 변환 ② 원-핫 인코딩(One Hot Encoding) : 피처의 개수만큼 칼럼을 만들어 고유값에 해당하는 칼럼에만 1을 표시하고 나머지 칼럼에는 0을 표시 1. 레이블 인코딩 (1) 방식 카테고리 피처인 제품분류를 0~5에 이르는 숫자 값으로 변환한다. (2) 코드 사이킷런의 LabelEncoder 클래스를 임포트한 후, LabelEncoder 객체를 생성한다. 이후 fit()과 transform()의 인자에 리스트로 된 피처를 넣어서 변환한다. 결과값인 label을 출력해보면 ndarray인 [1, 3, 5, 4, 2, 0, 1, 5]가 출력된다. 해당 피처가 어떤 ..

코드를 git repository에 push 하려니 아래와 같은 경고가 떴다. warning: in the working copy of '파일명', LF will be replaced by CRLF the next time Git touches it 이게 뭐지? 싶어 검색해보니 유닉스/리눅스 시스템과 윈도우 시스템의 줄바꿈 처리방식에 따른 문제였다. 유닉스/리눅스의 Line Feed는 해당 위치에서 커서는 그대로 두고 줄바꿈을 하는 반면에, 윈도우에서는 커서 위치를 해당 줄에서 맨 앞으로 옮기는 Carriage Return과 줄바꿈을 하는 Line Feed가 같이 처리된다. 이렇게 줄바꿈 처리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git에서 다음부터 LF(Line Feed) 대신 CRLF(Carriage Return + ..

패리티 비트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한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로 사용된다. 패리티 비트 (1) 정의: 정보의 전달 과정에서 오류가 생겼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비트를 추가하여 검사하는 방법 (2) 종류 1) 짝수 패리티(Even Parity): 전체 비트 내 1의 개수를 짝수 개로 맞춰주는 방법 2) 홀수 패리티(Odd Parity): 전체 비트 내 1의 개수를 홀수 개로 맞춰주는 방법 (3) 장점: 간단하게 사용 가능하다. (4) 단점 ① 여러 비트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는 검출이 안 될 수 있다. ② 오류 발생 여부를 알 수 있지만, 오류를 수정 할 수는 없다. (5) 예시: 데이터의 가장 왼쪽/오른쪽에 각 패리티 종류에 따른 1의 개수를 맞춰주기 위해 0/1을 추가한다. 데이터 짝수 패리티 홀수..

코드를 보는데, 처음 보는 구문이 나와서 정리해보았다. np.where(조건, x, y): 조건문을 만족할 때 x값을 반환하고, 아니면 y값을 반환한다. 다음은 사용 예제이다. import numpy as np a = np.arange(10) b = np.where(a array([0, 1, 2, 3, 4, 5, 6, 7, 8, 9]) b 출력 시 => array([ 0, 1, 2, 3, 4, 50, 60, 70, 80, 90]) ''' 아래처럼 np.where() 메서드를 사용해서 ReLU 함수를 구현할 수 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x = np.linspace(-50, 10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