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컬렉션 인터페이스
- REST API
- 컬렉션 프레임웍
- GIT
- conda remove
- 머신러닝
- 셀레니움
- Selenium
- 알고리즘
- 자바 열거형
- Java
- streamlit
- 스프링 부트
- 쓰레드 풀
- db
- 프로그래머스
- oracle
- 사이킷런
- 오라클
- openai
- Python
- 사이킷런 회귀
- 파이썬
- h2 데이타베이스
- 완주하지못한선수
- 스프링 부트3
- 자바 로그 레벨
- 차원증가
- URI 원칙
- WinError5
- Today
- Total
노트 :
Git 설정 본문
1. 작업폴더 git 관리 초기화
예전 컴퓨터에서 작업하다 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에서 충돌이 발생함
이번 기회에 새로운 작업폴더와 원격저장소를 연결하기 위해 git을 초기화하기로 했다.
잘못 건드리면 안 되니 원격저장소를 클론해서 테스트를 해보았음
← 기존 로컬 작업공간으로 가보면 .git이라는 숨김폴더가 있다.
해당 폴더는 git의 log를 저장해두는 폴더임
"rm -rf git." 명령문을 사용하면 요 폴더를 삭제해버린다.
고로 더이상 원격저장소와 작업로그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
2. 새롭게 관리 원하는 폴더에서 git init
$ git init
요 명령문은 해당 폴더 내에 .git 숨김폴더를 생성하는 명령문으로, 이제부터 이 폴더를 git이 관리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임
3. 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 연결
먼저 유저명과 이메일을 등록한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명"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주소@email.com"
등록된 유저명과 이메일을 변경하고 싶을 때는 아래처럼 등록된 내용을 삭제하고 새로 등록하면 된다.
$ git config --unset --global user.name
$ git config --unset --global user.email
이제 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를 연결하자.
add 다음에 쓴 origin은 원격저장소의 alias로 원하는 명칭을 쓰면 된다.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github주소.git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git remote -v를 찍어보자.
$ git remote -v
제대로 연결되었다!
4. pull & push
다음으로 원격저장소에 변동상황이 생겼을 때 로컬저장소에도 적용하기 위한 pull 명령문을 수행한다.
$ git pull
또는 아래처럼 저장소의 이름과 마스터/브랜치명을 직접 지정
$ git pull origin master
로컬에서 작업한 내용을 원격저장소에 반영하고 싶을 때는 아래 명령문을 수행하면 된다.
$ git add .
$ git commit -m "메시지"
$ git push origin master
원격저장소에 수정사항을 반영하려면, 먼저 수정할 파일을 git에 알려줘야 한다.
" add . " 명령문을 사용하면, 수정된 모든 파일을 git에 반영하겠다는 뜻이며,
" add 수정할 파일.확장자 " 명령문을 사용하면 원하는 파일만 골라서 반영할 수 있다.
이후 git commit -m " 메시지" 으로 커밋하면, add 명령어로 스테이징 공간에 보낸 파일을 커밋하겠다고 알리는 뜻이다.
최종적으로 git push origin master 명령을 실행하면 끝!